License
License: Creative Commons BY-NC-SA
7회차
1. Contents
리스트와 딕셔너리 자료형
리스트는 자료형을 연결한 것이다. Java와 다르게 형태가 다른 것도 같은 리스트에 들어갈 수 있고, 쉽게 변형과 추가, 제거가 가능하다.
딕셔너리는 Key와 Value를 한 쌍으로 갖는 자료형이다. Hash 기술을 사용해서 빠른 검색이 가능하다.
의사코드 (pseudocode)
의사코드란 실행하고자 하는 단계의 설명을 쓰는 것.
ex)
1. 밑변의 값을 float형으로 입력한다.
2. 높이의 값을 float형으로 입력한다.
3. 제곱근을 구하고 float형으로 hyp에 저장한다.
4. hyp출력.
의사코드의 주안점
1. 프로세스를 모듈화 하여 그 모듈의 순서를 제시했다.
2. 의사코드가 value에 대한 것을 말해준다.
3. 제어의 흐름을 보여준다.
4. 추상화를 사용한다 (제곱근을 사용하지만 그것의 구현법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았다.)
의사코드는 코드의 검토와 수정을 더 용이하게 만들어준다.
☆의사코드를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라.
제어의 흐름이 어떤지, 기본적 모듈이 무엇인지, 코드가 작동하도록 하기 위해 모듈 사이에 전해져야 할 정보가 무엇인지 써두어라.
효율성
효율성은 해결해야 할 문제를 클래스로 정의하고, 그 문제를 해결할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알고리즘의 효율은 두가지의 관점에서 측정된다.
1. 공간 : 계산을 완료하는데 얼마나 많은 메모리가 필요한가?
2. 시간 : 알고리즘이 동작을 완료하기까지의 시간이 얼마나 필요한가?
함수가 작동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기본적 Step이 얼마나 많은가?
1. Input size를 고려한다.
2. Basic step을 고려한다.
최고의 경우 Minimum의 계산을 거친다.
최악의 경우 Maximum의 계산을 거친다.
예측된 경우 Average의 계산을 거친다.
이 중 최악의 경우를 가정한다.
2. Q&A
...
'Computer science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T 6.00 9회차 강의후기 (0) | 2022.04.12 |
---|---|
MIT 6.00 8회차 강의후기 (0) | 2022.04.11 |
MIT 6.00 6회차 강의후기 (0) | 2022.04.11 |
MIT 6.00 5회차 강의후기 (0) | 2022.04.11 |
MIT 6.00 4회차 강의후기 (0) | 2022.04.11 |